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기독교 교회 중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로, 사도 베드로가 설립했다고 전해진다. 현재 총대주교는 요한 10세이며,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이 교회는 시리아, 레바논, 터키 등지에 교구를 두고 있으며, 아랍어와 영어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에 교구를 두고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22개의 대교구와 여러 명의 교구 주교를 두고 있으며,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튀르키예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튀르키예의 기독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안티오키아의 역사적 중요성에서 비롯된 기독교 성직자 직위로, 칼케돈 공의회 이후 분열되어 현재 동방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마론파 교회, 시리아 가톨릭교회 등 다섯 교회가 칭호를 주장하며 사도 계승을 통해 정통성을 주장한다.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안티오키아 |
주요 분류 | 동방 정교회 |
방향 | 그리스 정교회 |
성경 | 칠십인역, 신약성경 |
신학 | 동방 정교회 신학 |
정치 체제 | 감독 정치 |
수장 직함 | 총대주교 |
수장 | 요한 10세 (야지기),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 (2012년 12월 17일~) |
언어 | 코이네 그리스어(역사적), 아람어(고전 시리아어) (역사적), 아랍어(공식), 튀르키예어(튀르키예),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및 기타 언어 (확장) |
본부 | 마리아미테 대성당, 다마스쿠스, 시리아 |
전통적인 본부 | 카시아누스 교회, 안티오키아, 비잔티움 제국 |
수도원 거주지 | 발라만드 수도원, 코우라, 레바논 |
관할 지역 | 주요: 시리아, 레바논, 튀르키예 일부, 이라크, 이란,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예멘, 사우디아라비아(과거에는 키프로스, 조지아 및 중앙 캅카스 지역 일부) |
확장된 관할 지역 | 북미, 중앙아메리카, 남미, 서부, 남부 및 중부 유럽,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
창립자 | 사도 베드로와 바울 |
독립 | 서기 519년 |
인정 | 동방 정교회 |
분리 | 마론 교회 – 685년 |
신자 수 | 약 430만 명 (2012년) |
웹사이트 | www.antiochpatriarchate.org |
추가 정보 | |
총대주교청 위치 | 다마스쿠스(시리아) |
주요 관할 | 시리아, 레바논 |
국외 관할 | 튀르키예 일부,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오만, 미국, 캐나다, 중남미,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서유럽 |
봉신례 언어 | 아랍어, 그리스어, 튀르키예어 |
대략적인 신자 수 | 2,000,000명 |
공식 웹페이지 | antiochpatriarchate.org |
지도 정보 | |
성당 이미지 | |
![]() | |
성당 이미지2 | |
![]() |
2. 역사와 문화적 유산
총대주교좌는 한때 현재 터키에 있는 안티오크에 있었다. 카시안 교회는 후기 고대와 중세 시대에 멜키트와 라틴 총대주교를 위한 안티오크의 대성당이었다.[10] 그러나 14세기에 현재의 시리아인 다마스쿠스로 옮겨졌다. 전통적인 관할 구역은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쿠웨이트, 페르시아만의 아랍 국가, 그리고 터키의 일부를 포함한다. 이 관할 구역은 431년에 독립 교회가 되기 전까지 키프로스 교회를 포함했으며, 안티오크 정교회와 키프로스 교회는 모두 중동 교회 협의회의 회원이다.
북미 지부는 자율성을 가지며, 안티오크 성 시노드는 여전히 북미 대교구에서 추천된 세 명의 후보자 목록에서 선택된 수석 주교를 임명한다. 호주 및 오세아니아 지부는 호주의 비교적 큰 크기와 대교구가 관할하는 태평양의 넓은 지역으로 인해 지리적 면적에서 가장 크다.
안티오크 정교회의 수장은 총대주교라고 불린다. 현재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 총대주교는 요한 10세(야지기)이며, 2012년 12월 17일에 선출되어 2012년 12월 5일에 사망한 이그나티우스 4세의 뒤를 이었다. 회원 통계는 이용할 수 없지만, 시리아에서는 최대 110만 명[11], 레바논에서는 40만 명에 달할 수 있으며, 이는 레바논 인구의 8% 또는 레바논의 39–41%를 차지하는 기독교인의 20%를 차지한다. 다마스쿠스에 있는 총대주교의 좌석은 다마스쿠스 마리아미트 대성당이다.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는 고대 안티오크의 정통 계승자라고 주장하는 여러 교회 중 하나이다.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가톨릭 교회, 마론파 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도 같은 주장을 한다.
초대 총대주교는 사도베드로이다. 현재 총대주교는 요한 10세 야지기 (2013년 - )이며, 전임자 이그나티우스 4세 하짐의 사망 후 선출되었다.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은 공식적으로 현 터키 영내의 안타키아에 위치하지만, 실제 업무는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이루어진다.
고대 안티오키아 교회의 흐름을 이어받았으며, 현존하는 기독교회 중 가장 오래된 교회에 속한다. 현재는 시리아 외에도 미국·유럽 각국에도 교구를 두고 있다. 신자는 아랍어 사용자와 영어 사용자를 주로 한다. 정교회 중에서도 활발한 선교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비칼케돈파 정교회의 시리아 정교회 등 여러 다른 교파에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대주교가 존재한다.
2. 1. 초기 기독교와 안티오키아
الكنيسة الأنطاكية الأرثوذكسية|Kineesat ʾAnṭākiya al-ʾUrṯūḏuksiyyaar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로가 공동 설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베드로가 초대 주교였다. 베드로가 안티오키아를 떠난 후, 에보디오와 이그나티우스가 총대주교직을 맡았으며, 이들은 모두 로마의 박해로 순교했다.[10]누가에 따르면, 사도행전 11장 26절에서 제자들이 안티오크에서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헬레니즘 유대교와 후기 제2성전 시대에 헬레니즘 유대교를 믿는 랍비 유대인과 주류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 그리스인 개종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던 유대-그리스 "지혜" 문학은 멜키테-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전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전형적인 그리스의 "고대 회당" 사제 전례와 찬송가 일부는 터키 남부 하타이 주, 시리아, 레바논의 멜키테 그리스 정교회와 그리스 가톨릭 공동체의 독특한 교회 예배, 건축 및 성상에서 오늘날까지 부분적으로 살아남았다.[13]
일부 역사가들은 헬레니즘 유대교 공동체와 안티오크, 이스켄데룬 및 인근 도시) 및 시리아/레바논의 대부분의 이방인 그리스-마케도니아 정착민(전자는 사도행전에서 ''헬레니스타이''로 불림)이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멜키테''(또는 ''제국''의) 헬레니즘 교회를 구성하게 된 그리스-로마 기독교 분파로 점진적으로 개종했다고 믿는다.
사도행전 6장은 안티오크를 중심으로 하고 실리키아, 남부 아나톨리아 및 시리아 "디아스포라"와 관련된 헬레니즘 유대인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교 기독교인 사이의 문화적 긴장과 (일반적으로 더 보수적인) 아람어를 사용하는 예루살렘과 이스라엘 인근 마을에 기반을 둔 유대교 기독교인 사이의 문화적 긴장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민족 문화적, 사회적 긴장은 바울과 그의 추종자들이 주도한 새롭고 전형적인 안티오키아 그리스 교리(''독사'')의 출현으로 결국 극복되었다. 그들은 '''1.''' 기존의 토착 헬레니즘화된 킬리키아-서부 시리아 유대인, '''2.''' 이교도, '고전' 그리스인, 그리스-마케도니아인 및 그리스-시리아 이방인, 그리고 '''3.''' 주류 유대교로 개종한 그리스인 또는 그리스-시리아인의 토착 후손들, 즉 "개종자"와 혼혈 결혼에서 태어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다.
바울의 노력은 킬리키아, 북서부 시리아, 갈릴리 및 예루살렘에 도착한 네 번째 파도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이민자들의 도착에 의해 아마도 촉진되었을 것이다. 이들은 비 이집트 북아프리카 유대인 기원의 키프로스 및 '키레네'(리비아) 유대인 이민자와 이탈리아 출신의 이방인 로마 정착민들로, 이들 중 다수는 이미 유창한 코이네 그리스어를 구사하거나 자녀를 그리스-시리아 학교에 보냈다. 일부 학자들은 당시 이러한 키프로스 및 키레네 북아프리카 유대인 이민자들이 토착 킬리키아-시리아 유대인보다 일반적으로 덜 부유했고, 새로운 규범 형성에 더 유리한 더 '자유주의적인' 형태의 유대교를 실천했다고 믿는다.
이러한 미묘하고 점진적인 사회 문화적 변화는 갈라디아서 3장에서 간결하게 요약되어 있다.
민족문화적 특성의 독특한 조합은 그리스 문화 기반, 헬레니즘 유대교, 로마 문명의 융합으로 인해 킬리키아(터키 남동부)와 시리아/레바논의 독특한 안티오키아 "동지중해-로마" 기독교 전통을 탄생시켰다.

2. 2. 헬레니즘 유대교와 그리스-셈족 뿌리
는 안티오크에 있으며, 성 베드로와 바울로 사도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공동 설립자로 여겨진다. 베드로는 초대 주교였으며, 그가 안티오크를 떠난 후 에보디오와 이그나티우스가 총대주교직을 맡았다. 에보디오와 이그나티우스는 모두 로마 박해로 순교했다.[12]헬레니즘 유대교와 후기 제2성전 시대에 헬레니즘 유대교를 믿는 랍비 유대인(히브리어로 ''Mityavnim''으로 알려짐)과 주류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 그리스인 개종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던 유대-그리스 "지혜" 문학은 멜키테-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전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터키 남부 하타이 주, 시리아, 레바논의 멜키테 그리스 정교회와 그리스 가톨릭 공동체의 독특한 교회 예배, 건축 및 성상에는 전형적인 그리스의 "고대 회당" 사제 전례와 찬송가 일부가 오늘날까지 부분적으로 남아있다.[13]
일부 역사가들은 헬레니즘 유대교 공동체와 안티오크, 이스켄데룬 및 인근 도시와 시리아/레바논의 이방인 그리스-마케도니아 정착민( 사도행전에서 ''"헬레니스타이"''로 불림)이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멜키테"''(또는 ''"제국"''의) 헬레니즘 교회를 구성하게 된 그리스-로마 기독교 분파로 점진적으로 개종했다고 믿는다.[14]
사도행전 6장은 안티오크를 중심으로 실리키아, 남부 아나톨리아 및 시리아 "디아스포라"와 관련된 헬레니즘 유대인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교 기독교인 사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더 보수적인) 아람어를 사용하는 예루살렘과 이스라엘 인근 마을에 기반을 둔 유대교 기독교인 사이의 문화적 긴장에 대해 언급한다.[15]
이러한 민족 문화적, 사회적 긴장은 바울(그 자신도 헬레니즘화된 킬리키아 출신 유대인)과 그의 추종자들이 주도한 새롭고 전형적인 안티오키아 그리스 교리(''독사'')의 출현으로 결국 극복되었다.[16] 이들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토착 헬레니즘화된 킬리키아-서부 시리아 유대인
2. 이교도, '고전' 그리스인, 그리스-마케도니아인 및 그리스-시리아 이방인
3. 주류 유대교로 개종한 그리스인 또는 그리스-시리아인의 토착 후손들과 혼혈 결혼에서 태어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바울의 노력은 킬리키아, 북서부 시리아, 갈릴리 및 예루살렘에 도착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이민자들의 도착에 의해 촉진되었을 것이다.[16] 이들은 비 이집트 북아프리카 유대인 기원의 키프로스 및 '키레네'(리비아) 유대인 이민자와 이탈리아 출신의 이방인 로마 정착민들로, 이들 중 다수는 이미 유창한 코이네 그리스어를 구사하거나 자녀를 그리스-시리아 학교에 보냈다. 일부 학자들은 당시 이러한 키프로스 및 키레네 북아프리카 유대인 이민자들이 토착 킬리키아-시리아 유대인보다 일반적으로 덜 부유했고, 새로운 규범 형성에 더 유리한 더 '자유주의적인' 형태의 유대교를 실천했다고 믿는다.[16]
이러한 사회 문화적 변화는 갈라디아서 3장에 간결하게 요약되어 있다.[17]
2. 3. "유대인도 그리스인도 없다"
이러한 민족 문화적, 사회적 긴장은 바울(그 자신도 헬레니즘화된 킬리키아 출신 유대인)과 그의 추종자들이 주도한 새롭고 전형적인 안티오키아 그리스 교리(''독사'')의 출현으로 결국 극복되었다. 그들은 다음과 같다.# 기존의 토착 헬레니즘화된 킬리키아-서부 시리아 유대인 (자신들은 바빌로니아 및 '아시아' 유대인 이민자들의 후손으로, 일찍이 그리스 문화와 문명의 다양한 요소를 받아들였지만 유대교 율법과 전통에 대한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애착을 유지했다).
# 이교도, '고전' 그리스인, 그리스-마케도니아인 및 그리스-시리아 이방인.
# 주류 유대교로 개종한 그리스인 또는 그리스-시리아인의 토착 후손들, 즉 "개종자"(그리스어: προσήλυτος/proselytes 또는 '이스라엘의 신참')와 혼혈 결혼에서 태어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바울의 노력은 킬리키아, 북서부 시리아, 갈릴리 및 예루살렘에 도착한 네 번째 파도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이민자들의 도착에 의해 아마도 촉진되었을 것이다. 이들은 비 이집트 북아프리카 유대인 기원의 키프로스 및 '키레네'(리비아) 유대인 이민자와 이탈리아 출신의 이방인 로마 정착민들로, 이들 중 다수는 이미 유창한 코이네 그리스어를 구사하거나 자녀를 그리스-시리아 학교에 보냈다. 일부 학자들은 당시 이러한 키프로스 및 키레네 북아프리카 유대인 이민자들이 토착 킬리키아-시리아 유대인보다 일반적으로 덜 부유했고, 새로운 규범 형성에 더 유리한 더 '자유주의적인' 형태의 유대교를 실천했다고 믿는다.
There is neither Jew nor Greek, there is neither bond nor free, there is neither male nor female: for ye are all one in Christ Jesus영어|유대인이나 그리스인이 없고, 종이나 자유인이 없으며, 남자나 여자가 없습니다. 여러분은 모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입니다|갈라디아서 3:28한국어[17]
2. 4. "멜키트"와 "동로마인"
헬레니즘 유대교와 후기 제2성전 시대, 헬레니즘 유대교를 믿는 랍비 유대인(히브리어로 ''Mityavnim''으로 알려짐)과 주류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 그리스인 개종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던 유대-그리스 "지혜" 문학은 멜키테-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전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전형적인 그리스의 "고대 회당" 사제 전례와 찬송가 일부는 터키 남부 하타이 주, 시리아, 레바논의 멜키테 그리스 정교회와 그리스 가톨릭 공동체의 독특한 교회 예배, 건축 및 성상에서 오늘날까지 부분적으로 남아있다.[13]일부 역사가들은 헬레니즘 유대교 공동체와 안티오크, 이스켄데룬 및 인근 도시) 및 시리아/레바논의 대부분 이방인 그리스-마케도니아 정착민(전자는 사도행전에서 ''"헬레니스타이"''로 불림)이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멜키테"''(또는 ''"제국"''의) 헬레니즘 교회를 구성하게 된 그리스-로마 기독교 분파로 점진적으로 개종했다고 믿는다.
사도행전 6장은 안티오크를 중심으로 하고 실리키아, 남부 아나톨리아 및 시리아 "디아스포라"와 관련된 헬레니즘 유대인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교 기독교인 사이의 문화적 긴장과 (일반적으로 더 보수적인) 아람어를 사용하는 예루살렘과 이스라엘 인근 마을에 기반을 둔 유대교 기독교인 사이의 문화적 긴장에 대해 언급한다.
민족문화적 특성의 독특한 조합은 그리스 문화 기반, 헬레니즘 유대교, 로마 문명의 융합으로 인해 킬리키아(터키 남동부)와 시리아/레바논의 독특한 안티오키아 "동지중해-로마" 기독교 전통을 탄생시켰다.
헬레니즘 유대교와 더 일반적으로 제2성전 시대의 그리스-유대교 70인역 문화에 뿌리를 둔 공동체의 전형적인 안티오키아 고대 전례 전통 중 일부는 파나르 유럽-그리스인(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과 바티칸(로마 가톨릭) 신학자들에 의해 중세 후기 및 현대 시대에 점진적으로 제거되었다. 그들은 레반트 그리스 정교회와 그리스 가톨릭 공동체를 유럽 기독교의 품으로 '다시 데려오려' 했다.
그러나 터키 남부, 시리아 및 레바논의 공동체 구성원들은 여전히 자신들을 Rūm (روم)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아랍어로 '"동로마인"' 또는 '"아시아 그리스인"'을 의미한다. 특히 이 맥락에서, '"Rūm"'은 '"Yūnāniyyūn"' (يونانيون) 대신 사용되는데, 이는 구약 히브리어 (고대 페르시아어 ''Yavan'' = 그리스에서 차용)와 고전 아랍어로 "유럽 그리스인" 또는 "이오니아인"을 의미한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또한 자신들을 '멜키트'라고 부르는데, 이는 셈족 언어로 문자적으로 "군주주의자" 또는 "황제의 지지자"를 의미하며, 그리스-마케도니아, 로마 및 비잔틴 제국의 통치에 대한 과거 충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 시대에는 이 용어가 안티오키아 및 알렉산드리아 및 예루살렘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신자들에 의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2. 5. 다른 비무슬림 소수 민족과의 상호 작용
오스만 제국과 차르 러시아 제국 (레반트 지역의 그리스 정교 소수 민족을 오랫동안 보호)이 붕괴하고, 뒤이어 프랑스 식민주의, 공산주의, 이슬람주의 및 이스라엘 민족주의가 부상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의 일부 구성원들은 북부 시리아와 레바논의 새로 형성된 국민 국가를 현대화하고 "세속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세속주의 및/또는 아랍 민족주의를 받아들였다. 이는 정치적 이슬람, 공산주의 및 유대 민족주의(비잔틴 기독교 소수 민족을 배타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이념으로 간주됨)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19]1948년과 1967년 이후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 관련하여 레바논의 마론파 교회와 종종 종교 간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배경을 가진 다양한 (때로는 세속적인) 지식인들이 바트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중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이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미셸 아플라크였다.[19]
2. 6. 아브라함 디미트리 리바니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아브라함 미트리 리바니(장로교회로 개종)로 알려진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출신의 레바논계 미국 작가 아브라함 디미트리 리바니는 기독교 복음서의 역사적, 민족문화적 맥락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셈족 문화를 연구하는 개념을 대중화했다. 그의 원래 견해는 ''애틀랜틱 월간지''에 연재되었고, 1916년에는 《시리아의 그리스도》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당시 아랍 세계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 프랑스, 영국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는데, 리바니는 오스만 범이슬람주의, 프랑스 식민주의, 소련 공산주의, 급진적 시오니즘으로부터 기독교 소수 민족을 보호하기 위해 성지에 대한 미국 군사 개입을 촉구했다. 이 모든 것은 잠재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간주되었다.
3. 행정 및 구조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의 총대주교좌는 한때 현재 터키의 안티오크에 있었으나, 14세기에 현재의 시리아 다마스쿠스로 옮겨졌다. 전통적인 관할 구역은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쿠웨이트, 페르시아만의 아랍 국가, 그리고 터키의 일부를 포함한다.[10] 이 관할 구역은 431년까지 키프로스 교회를 포함했었다. 안티오크 정교회와 키프로스 교회는 모두 중동 교회 협의회의 회원이다.
북미 지부는 자율성을 가지지만, 안티오크 성 시노드는 여전히 북미 대교구에서 추천된 세 명의 후보자 목록에서 선택된 수석 주교를 임명한다. 호주 및 오세아니아 지부는 지리적 면적이 가장 크다.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고대 안티오크의 정통 계승자라고 주장하는 여러 교회 중 하나이다. 시리아 정교회도 같은 주장을 하며, 시리아 가톨릭 교회, 마론파 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도 마찬가지이다.
안티오키아 교구의 행정과 구조는 규약에 의해 관리된다.
3. 1. 총대주교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의 수장은 총대주교라고 불린다. 현재 총대주교는 요한 10세(야지기)이며, 2012년 12월 17일에 선출되었다.[11] 그는 2012년 12월 5일에 사망한 이그나티우스 4세의 뒤를 이었다.[11]총대주교는 성 시노드를 구성하는 대교구 주교들 중에서 성 시노드에 의해 선출된다. 총대주교는 성 시노드를 주재하며 그 결정을 집행한다. 또한 안티오키아 및 다마스쿠스 대교구의 교구장 역할을 한다.
초대 총대주교는 사도베드로이다. 현재 총대주교는 요한 10세 야지 (2013년 - )이며, 전임자 이그나티우스 4세 하짐의 사망 후 선출되었다.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은 공식적으로 현 터키 영내의 안타키아에 위치하지만, 실제 업무는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이루어진다.
안티오키아 교회의 흐름을 이어받았으며, 현존하는 기독교회 중 가장 오래된 교회에 속한다. 현재는 시리아 외에도 미국·유럽 각국에도 교구를 두고 있다. 신자는 아랍어 사용자와 영어 사용자를 주로 한다. 정교회 중에서도 활발한 선교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비칼케돈파 정교회의 시리아 정교회 등 여러 다른 교파에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대주교가 존재한다.
3. 2. 대교구 및 관구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의 총대주교좌는 한때 현재 터키의 안티오크에 있었으나, 14세기에 현재의 시리아 다마스쿠스로 옮겨졌다. 전통적인 관할 구역은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쿠웨이트, 페르시아만의 아랍 국가, 그리고 터키의 일부를 포함한다.[10] 이 관할 구역은 431년까지 키프로스 교회를 포함했었다. 안티오크 정교회와 키프로스 교회는 모두 중동 교회 협의회의 회원이다.
북미 지부는 자율성을 가지지만, 안티오크 성 시노드는 여전히 북미 대교구에서 추천된 세 명의 후보자 목록에서 선택된 수석 주교를 임명한다. 호주 및 오세아니아 지부는 지리적 면적이 가장 크다.[21]
현재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22개의 대교구를 두고 있으며, 각 대교구는 대주교가 수장으로 있다.[22]
3. 2. 1. 서아시아
관구 | 교구 | 소재지 | 수장 | 비고 |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직할 | 안티오키아 및 다마스쿠스 대교구 | 다마스쿠스 | 요한 10세 야지 | 총대주교 관할[23] |
아카르 및 부속 지역 대교구 | 와디 알 나사라, 사피타 및 타르투스 | 바실리오스 만수르 | [23] | |
알레포 (베로에아) 및 알렉산드레타 대교구 | 에프레임 마알리 | [24] | ||
베이루트 및 포이니키아 엑사르코스 대교구 | 엘리아스 아우디 | [25] | ||
바그다드, 쿠웨이트 및 부속 지역 대교구 | 가타스 하자임 | [26][27] | ||
보스라, 하우란 및 자발 알아랍 대교구 | 사바 에스베르 | [28] | ||
비블로스 및 바트룬 대교구 | 실루안 무시 | [29] | ||
하마 (에피파니아) 및 북시리아 엑사르코스 대교구 | 니콜라스 발바키 | [30] | ||
호므스 (에메사) 대교구 | 조지 아부 자켐 | [31] | ||
라타키아 (라오디게아 아드 마레) 및 테오도리아스 엑사르코스 대교구 | 아타나시우스 파드 | [32] | ||
트리폴리 및 코라 대교구 | 에프라임 키리아코스 | [33] | ||
타이어 및 시돈 대교구 | 엘리아스 크푸리 | [34] | ||
자흘레 및 바알베크 (헬리오폴리스) 대교구 | 안토니오스 엘 수리 | [35] |
3. 2. 2.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및 필리핀 대교구는 바실리오스 쿠드시아가 2017년부터 현재까지 담당하고 있다.[1]3. 2. 3. 유럽
유럽에는 다음과 같은 교구가 있다.관구 | 주교 |
---|---|
영국 및 아일랜드 관구 | 실루안 오너 (2015년~현재) |
프랑스, 서유럽 및 남유럽 관구 | 이그나티우스 알후시 (2013년~현재) |
독일 및 중유럽 관구 | 아이작 바라카트 (2013년~현재) |
3. 2. 4. 아메리카
북미 지부는 자율성을 가지며, 안티오크 성 시노드는 여전히 북미 대교구에서 추천된 세 명의 후보자 목록에서 선택된 수석 주교를 임명한다.- 북미 대교구 (뉴저지주 잉글우드); 뉴욕 및 북미 전체 관구장: 사바 (에스베르) (2023년–현재)
교구 | 주교 | 재임 기간 |
---|---|---|
오클랜드 교구, 찰스턴, 및 미드애틀랜틱 | 토마스 조셉 | 2004년–현재 |
이글 리버 및 북서부 교구 | 공석 | |
로스앤젤레스 및 서부 교구 | 앤서니 미카엘스 | 2014년–현재 |
뉴욕 및 워싱턴 D.C. 교구 | 관구 교구 | |
마이애미 및 동남부 교구 | 니콜라스 오존 | 2017년–현재 |
오타와, 동부 캐나다 및 뉴욕주 북부 교구 | 알렉산더 무파리 | 2004년–현재 |
톨레도 및 중서부 교구 | 제레미 (데이비스), 대주교 대리 | 2024년–현재 |
위치토 및 중미 교구 | 바실 (에세이) | 2003년–현재 |
우스터 및 뉴잉글랜드 교구 | 존 압달라 | 2011년–현재 |
- 멕시코, 베네수엘라,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대교구: 이그나티우스 사만 (2017년–현재)
3. 3. 명의 교구 및 주교
교구 | 주교 | 재임 기간 | 비고 |
---|---|---|---|
샤흐바 교구 | 니폰 사야칼리 | 1988– | 2009년 대주교 승격, 2014년 관구장 주교 승격, 안티오키아 및 전 동방 총대주교의 모스크바 및 전 러시아 총대주교 대표[43] |
다라야 교구 | 무사 코리 | 1995– | 총대주교 보좌 – 다마스쿠스[43] |
사이다나야 교구 | 루카 코리 | 1999– | 총대주교 보좌 – 다마스쿠스[43] |
바니아스 교구 | 데메트리오스 샤르바크 | 2011– | 사피타 보좌 주교, 아카르 관구[43] |
아르토사 교구 | 엘리아스 투메 | 2011– | 마르마리타 보좌 주교, 아카르 관구[43] |
자바다니 교구 | 콘스탄틴 카얄 | 2011– | 성 엘리아스 – 슈와이야 총대주교 수도원장[43] |
팔미라 교구 | 유한나 하이칼 | 2011– | 독일 및 중앙 유럽 관구 보좌 주교[43] |
에데사 교구 | 로마노스 다우드 | 2011– | 상파울루 및 브라질 관구 보좌 주교[43] |
에미레이트 교구 | 그레고리오스 코리-압달라 | 2014– | 총대주교 보좌 주교[43] |
에르주룸 교구 | 카이스 사데크 | 2014– | 총대주교 보좌 주교[43] |
레사파 교구 | 유한나 바타쉬 | 2017– | [43] |
아파메아 교구 | 테오도르 간두르 | 2017– | [43] |
디야르바키르 교구 | 폴 야지기 | 2021– | [24] |
비블로스와 바트룬 대교구 | 조르주 코르 | 1970–2018 | |
자블레 교구 | 드미트리오스 코우리 | 1995–2003 | |
야브루드 교구 | 아타나시오스 살리바 | 1979– |
4. 딸 교회
- 정교회
- 키프로스 교회: 431년 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았다.[10]
- 예루살렘 교회: 원래 카이사리아 주교였으며,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관할 구역에서 영토를 할애받아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총대주교 지위를 얻었다.
- 조지아 교회: 486년 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 이메레티 및 압하지야 교회: 1470년대에 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았으나, 1814년 러시아 제국에 의해 탄압받았고, 1917년 조지아 교회와 재결합할 때까지 모스크바 및 전 러시아 교회의 종속 상태로 남아 있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안티오키아 및 전 동방 시리아 정교 총대주교청: 518년 안티오키아의 세베루스가 유스티누스 1세 황제에 의해 폐위되고 세베루스와 그의 추종자들이 망명하면서 형성되었다.
- 가톨릭
- 안티오키아 및 전 동방 마론파 총대주교청: 5세기에 마론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후기 레반트의 무슬림 정복을 견뎌냈고, 12세기에 로마와의 친교를 재확인했다.
- 멜키트 가톨릭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1724년 키릴 6세 타나스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그는 안티오키아 정교회 공동체를 로마와 친교를 맺게 했다.
- 안티오키아 시리아 가톨릭 총대주교청: 1662년 앤드류 아키잔이 시리아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그해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맺으면서 형성되었다.
5. 시리아 내전의 영향
2011년 말부터 이어진 시리아 내전에서 비(非) 칼케돈파(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시리아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와 함께 이슬람계 과격파의 파괴 활동을 받고 있다.[49] 성당 파괴와 같은 물적 피해뿐만 아니라, 2012년 초에는 사제가 살해되었고[50], 2013년 4월에는 안티오키아 정교회 주교와 시리아 정교회 주교 등 2명이 납치되는[51] 등 인적 피해도 확대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Aramean and Syriac Studies
Gorgias Press
2017-12-11
[2]
문서
[3]
서적
Eighteen Centuries of the Orthodox Greek Church
https://books.google[...]
James Parker
1899
[4]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Georgian Church
https://books.google[...]
Saunders, Otley and Company
1866
[5]
웹사이트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oikoumen[...]
2019-05-30
[6]
서적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https://ejtaal.net/a[...]
[7]
서적
Diasporas of the Modern Middle East: Contextualising Commun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Fragmented in space: the oral history narrative: of an Arab Christian from Antioch, Turkey
https://core.ac.uk/d[...]
[9]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Churches
https://www.oikoumen[...]
2019-03-29
[10]
간행물
Antioch in the Middle Byzantine period (969–1084): the reconstruction of the city as an administrative, economic, military and ecclesiastical center
https://www.persee.f[...]
2024-02-08
[11]
서적
Who Are the Christians in the Middle East?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 History of Christianity in Syria "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5]
웹사이트
" Conflict and Diversity in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http://goarch.org/ou[...]
2013-05-10
[16]
웹사이트
" Epistle to the Cyrene"
http://biblehub.com/[...]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17]
웹사이트
"Epistle to the Galatians"
http://www.latinvulg[...]
New Testament
2020-12-30
[18]
문서
Antioch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iblica
[19]
문서
[20]
웹사이트
Election de SE Monseigneur Jean Patriarche d'Antioche et de tout l'Orient
http://orthodoxesant[...]
2012-12-17
[21]
웹사이트
Archdiocese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22]
웹사이트
بطريركية انطاكية للروم الأرثوذكس 2021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https://www.unionbet[...]
2022-03-07
[23]
웹사이트
ابرشية عكار وتوابعها للروم الأرثوذكس {{!}} موقع ابرشية عكار للروم الارثوذكس
https://akkarorthodo[...]
2021-10-18
[24]
웹사이트
Bishop Ephreim Maalouli: Metropolitan of Aleppo, Alexandretta and their Dependencies
https://www.antiochp[...]
2022-02-06
[25]
웹사이트
Welcome to the website of the Orthodox Archdiocese of Beirut
http://www.quartos.o[...]
2021-10-18
[26]
웹사이트
GoCarch – Baghdad, Kuwait and Dependencies
http://gocarch.info/
2021-10-18
[27]
웹사이트
Baghdad, Kuwait and Dependencie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28]
웹사이트
الرئيسية – أبرشية بصرى حوران وجبل العرب و الجولان للروم الأرثوذكس
https://www.orthodox[...]
2021-10-18
[29]
웹사이트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Mount Lebanon
http://www.ortmtlb.o[...]
2021-10-18
[30]
웹사이트
Hama and Dependencie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31]
웹사이트
Homs and Dependencie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32]
웹사이트
Lattakia and Dependencie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33]
웹사이트
الرئيسيّة
https://archtripoli.[...]
2021-10-18
[34]
웹사이트
Tyre, Sidon and Dependencie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35]
웹사이트
الموقع الإلكتروني لأبرشيّة زحلة وبعلبك وتوابعهما للروم الأرثوذكس
http://archzahle.com[...]
2021-10-18
[36]
웹사이트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https://www.antiochi[...]
2024-09-29
[37]
웹사이트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https://www.antiochi[...]
2024-09-29
[38]
웹사이트
Antiochian Diocese of Miami and the Southeast –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America
https://domse.org/
2021-10-18
[39]
웹사이트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https://www.antiochi[...]
2024-09-29
[40]
웹사이트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https://www.antiochi[...]
2024-09-29
[41]
웹사이트
Español
http://www.acoantioq[...]
2022-03-07
[42]
웹사이트
Igreja Ortodoxa Antioquina
https://www.catedral[...]
2022-03-07
[43]
웹사이트
Auxiliary Bishops –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antiochp[...]
2022-02-06
[44]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45]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46]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47]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48]
뉴스
Syria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July-December, 2010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www.state.gov[...]
[49]
뉴스
Can Syria's Christians Survive? - WSJ.com
http://online.wsj.co[...]
[50]
뉴스
Orthodox priest killed in Syria unrest / OrthoChristian.Com
http://www.pravoslav[...]
[51]
뉴스
Syria says two bishops kidnapped by rebels | Reuters
http://uk.reuter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